본문 바로가기

SK바이오팜 주가 전망 실적 분석 25.4

policywise4 2025. 4. 21.

 

 

SK바이오팜 주가 실적 전망 목표주가 분석

오늘은 국내 대표적인 신약 개발 기업 중 하나인 SK바이오팜(종목코드: 326030)에 대한 분석을 제공해 드리고자 합니다.

최근 시장의 변동성 속에서도 SK바이오팜은 독보적인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많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과연 현재 주가는 적정한 수준인지, 향후 실적 전망은 어떠한지,

그리고 증권가에서 제시하는 목표주가는 얼마인지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K바이오팜, 현재 주가 흐름과 투자 지표 분석

현재 주가 및 시가총액

 

2025년 4월 4일 기준, SK바이오팜의 종가는 102,300원으로 전일 대비 2,600원(-2.48%) 하락 마감했습니다.

최근 한 달간 -11.20%, 3개월간 -6.32%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연간 기준으로는 +14.30% 상승하며 장기적인 성장 기대감은 유효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52주 최고가는 130,000원, 최저가는 72,600원으로, 현재 주가는 고점 대비 조정을 받은 상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8조 114억 원 수준입니다.

주요 투자 지표 (PER, PBR 등)

항목 2024년 실적 2025년 예상 2026년 예상
PER(배) 33.28 53.80 -
PBR(배) 14.67 11.63 -
EPS(원) 3,074 1,901 3,530
BPS(원) 6,975 8,799 -

SK바이오팜의 투자 매력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지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33.28배, 주가순자산비율(PBR)은 14.67배입니다.

이는 2025년 예상 실적 기준 PER 53.80배, PBR 11.63배와 비교해 볼 때,

단기적인 이익 변동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성장성에 대한 높은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건강관리 업종 평균 PER(193.77배)이 매우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바이오 섹터 특유의 높은 밸류에이션 평가 기준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급 동향 및 주주 구성

수급 측면에서는 외국인 지분율이 11.84%를 기록하고 있으며, 유동주식비율은 35.83%입니다.

최대주주인 SK(주) 외 6인이 64.04%의 지분을 안정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연금공단 역시 6.02%의 지분을 확보하고 있어 주요 기관 투자자의 관심도 높은 편입니다.

이러한 안정적인 주주 구성은 장기적인 기업 가치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024년 실적 리뷰와 2025년 실적 전망

괄목할 만한 2024년 턴어라운드

SK바이오팜은 2024년, 그야말로 극적인 실적 턴어라운드를 달성했습니다! 이전까지 적자를 기록했던 것과 달리,

2024년에는 연결 기준 매출액 5,476억 원(전년 대비 +54.3%), 영업이익 963억 원(흑자전환),

당기순이익 2,407억 원(흑자전환)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특히 2024년 4분기 영업이익은 406.5억 원으로 컨센서스(300.5억 원)를 35.27% 상회했으며,

지배주주 순이익은 1,901.2억 원으로 컨센서스(142.5억 원) 대비 무려 1,234.14% 높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시장에 강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2025년 매출 및 이익 성장 기대감

구분 2024년 2025년 예상 2026년 예상
매출액(억 원) 5,476 7,117 (+29.96%) 9,160 (+28.71%)
영업이익(억 원) 963 1,658 (+72.15%) 3,194 (+92.58%)
당기순이익(억 원) 2,407 1,489 (-38.14%) 2,765 (+85.67%)
영업이익률(%) 17.59 23.30 -

증권가의 2025년 실적 컨센서스에 따르면, 매출액은 7,117억 원으로 전년 대비 29.96%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1,658억 원으로 72.15%나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2025년 예상 당기순이익(지배주주 기준)은 1,489억 원으로 2024년 대비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2024년의 일회성 이익 요인 소멸 및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등에 따른 영향일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 2026년 전망

중장기적인 성장 전망은 더욱 밝습니다.

2026년에는 매출액 9,160억 원(+28.71%),

영업이익 3,194억 원(+92.58%),

당기순이익 2,765억 원(+85.67%)을 달성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됩니다.

EPS 역시 3,530원으로 크게 증가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핵심 파이프라인과 성장 동력

주력 제품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의 성과

SK바이오팜의 눈부신 실적 개선 뒤에는 단연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성공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 출시 이후 가파른 매출 성장세를 보이며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이는 SK바이오팜의 확실한 캐시카우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파이프라인 확장 전략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차세대 파이프라인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추신경계(CNS) 질환 영역에서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동시에,

항암 분야 등 새로운 치료 영역으로의 확장을 모색하며 R&D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을 발판 삼아 유럽, 아시아 등 주요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현지 파트너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각 지역별 특성에 맞는 시장 공략 전략을 펼치고 있으며,

이는 세노바메이트의 글로벌 매출 극대화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증권가 목표주가 및 투자 의견 종합

컨센서스 목표주가와 투자의견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SK바이오팜에 대한 리포트를 발간한 17개 증권사의 평균 목표주가는 153,765원입니다. 이는 현재 주가(102,300원) 대비 약 50.3%의 상승 여력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투자의견 컨센서스는 4.00으로 '매수' 의견이 우세한 상황입니다.

주요 증권사별 목표주가 동향

증권사 목표주가(원) 투자의견
메리츠증권 / 부국증권 170,000 매수
KB증권 165,000 매수
한국투자증권 외 4개사 160,000 매수

 

마치며 분석내용 정리

그동안 등락이 심했던 것과 달리 대체로 전망은 밝은 편입니다. 

 

분석내용을 정리해보면, 


2024년 4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으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8.6% 증가, 영업이익은 175% 증가했습니다.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의 미국 판매 확대 등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4월 11일 기준 목표가는 134,375원, PER은 36.14배입니다.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성분명 세노바메이트)'의 전신발작 적응증 확대와 아시아 시장 진출을 추진합니다.
신규 제품 도입을 통해 사업을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다만 단기적 조정 국면까지 없을 수는 없겠죠. 

 

상기 내용 확인하시고 좋은 투자되시길 기원드립니다! 

댓글